## 3. Live Concepts
### 3.1. The Browser (브라우저)
Ableton Live의 브라우저는 프로그램과 함께 설치된 핵심 사운드 라이브러리, Live Pack을 통해 설치한 추가 사운드, 저장한 프리셋 및 샘플, 내장 장치와 타사 장치, 수동으로 추가한 폴더 등 음악적 자산(assets) 라이브러리와 상호 작용하는 곳입니다.
브라우저와 브라우저 뷰 컨트롤 화면
![[Pasted image 20250329094610.png]]
Ableton Live 창의 왼쪽 상단 모서리에 있는 보기 컨트롤을 사용하거나 바로 가기 Ctrl Alt 5 (Win) / Cmd 옵션 5 (Mac)을 사용하여 브라우저를 표시하거나 숨길 수 있습니다.
### 3.2. Live Sets
Ableton Live에서 생성하고 작업하는 문서 유형을 라이브 세트(Live Set)라고 합니다. 라이브 세트는 Live 프로젝트 폴더에 위치하며, 이 폴더에는 프로젝트와 연결되어 있는 각종 재료(샘플 사운드, 녹음 파일, 플러그인, 프리셋 등등)들이 함께 저장됩니다. 프로젝트 폴더가 저장되면 파일 메뉴의 열기 명령을 사용하여 세트를 다시 열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에서의 Live Set
![[Pasted image 20250329095058.png]]
현재 열려 있는 Live Set에 속하는 Live Project 폴더 및 관련 파일은 Live's Places의 Current Project 레이블을 통해서도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 3.3. 어레인지먼트와 세션 (Arrangement and Session)
Ableton Live의 기본 음악 구성 요소는 클립(Clip)이라고 합니다. 클립은 멜로디, 드럼 패턴, 베이스라인 또는 완전한 노래와 같은 음악 재료들의 한 조각입니다. Ableton Live를 통해 클립을 녹음하고 변경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노래, 악보, 리믹스, DJ 세트 또는 무대 공연과 같은 더 큰 음악 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
Live Set은 클립을 고정할 수 있는 두 가지 환경으로 구성됩니다: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는 음악적이고 선형적인 타임라인을 따라 클립을 배치하는 것이고, 세션(Session)은 "실시간 지향의" 재생을 베이스로 클립을 배치하는 것입니다. 모든 세션 클립에는 언제 어디서나 클립을 실행할 수 있는 고유한 재생 버튼이 있습니다. 우리는 여러 설정을 통해 각 클립이 실행될 때 수행될 동작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어레인지먼트 뷰의 클립(왼쪽)과 세션 뷰의 클립(오른쪽)
![[Pasted image 20250329095549.png]]
어레인지먼트 뷰가 활성회되었을 때의 모습
![[Pasted image 20250329095741.png]]
세션 뷰가 활성화되었을 때의 모습
![[Pasted image 20250329095714.png]]
단일 창에서 Live를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 키보드의 Tab 키 또는 Live 창의 오른쪽 상단 모서리에 있는 각 보기 컨트롤을 사용하여 각각의 뷰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
창에서 Tab을 누르면 세션과 어레인지먼트가 한 창에서 다른 창으로 전환됩니다. [[#Display & Input]]에서 '탭 키를 사용하여 탐색'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탭을 누르면 배열과 세션 보기 간에 전환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탐색 메뉴 항목이나 세션 보기의 경우 Alt + 1(Win) / 옵션 키 + 1(Mac), 어레인지먼트 뷰 보기의 경우 Alt + 2(Win) / 옵션 키 + 2(Mac) 단축키를 사용하여 보기 설정을 전환할 수 있습니다.
어레인지먼트 뷰와 세션 뷰의 제어 영역
![[Pasted image 20250329102111.png]]
두 뷰는 서로 다른 응용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각 개별 클립 컬렉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뷰를 전환하거나 교체하는 것은 단순히 Live Set의 모양을 변경할 뿐 모드를 전환하거나 들을 수 있는 내용을 변경하거나 저장된 내용을 변경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레인지먼트 뷰와 세션 뷰는 유용한 방식으로 상호 작용합니다. 예를 들어 세션 클립으로 즉흥 연주를 하고 즉흥 연주의 로그를 편곡에 기록하여 더욱 정교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편곡과 세션이 트랙을 통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입니다.
### 3.4. Tracks
트랙은 클립을 호스트(host: 어떤 것을 담고 있거나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다)할 뿐만 아니라, 신호의 흐름을 관리하고 녹음, 사운드 합성, 이펙트 처리, 믹싱을 통해 새로운 클립을 생성하는 역할도 합니다.
어레인지먼트 뷰 안에서의 트랙
![[Pasted image 20250329102454.png]]
세션(Session)과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는 동일한 트랙 집합을 공유합니다. 세션 뷰에서는 트랙이 세로 열로 배치되고, 어레인지먼트 뷰에서는 트랙이 수직으로 쌓이며 시간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릅니다. 트랙 내 클립의 공존을 다루는 간단한 규칙이 있습니다:
**하나의 트랙은 한 번에 하나의 클립만 재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통, 번갈아 재생되어야 하는 클립들은 같은 세션 뷰 열에 배치하고, 동시에 재생되어야 하는 클립들은 서로 다른 트랙의 같은 행, 즉 **씬(scene)이라 부르는 줄에 나란히 배치합니다.
세션 뷰에서의 씬(scene)
![[Pasted image 20250329103030.png]]
한 번에 하나의 트랙은 세션 클립 또는 어레인지먼트 클립 중 하나만 재생할 수 있으며, 둘을 동시에 재생할 수는 없습니다. 그렇다면, 어느 쪽이 우선일까요? 세션 클립이 실행되면 해당 트랙은 하던 일을 멈추고 그 클립을 재생하게 됩니다. 특히, 트랙이 어레인지먼트 클립을 재생 중이었다면 그것을 멈추고 세션 클립을 재생하게 됩니다 — 다른 트랙들이 계속 어레인지먼트에 있는 내용을 재생하고 있더라도 말입니다. 이 트랙은 명시적으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다시 어레인지먼트 재생으로 돌아가지 않습니다.
이럴 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Back to Arrangement(어레인지먼트로 돌아가기)** 버튼입니다. 이 버튼은 세션 뷰의 메인 트랙과 어레인지먼트 뷰의 스크럽 영역 오른쪽 상단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버튼에 불이 들어오면, 하나 이상의 트랙이 현재 어레인지먼트를 재생하고 있지 않고 세션의 클립을 재생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세션 뷰 안에서의 Back to Arrangement 버튼 (왼쪽)과 어레인지먼트 뷰 안에서의 Back to Arrangement 버튼 (오른쪽)
![[Pasted image 20250329103439.png]]
이 버튼을 클릭하면 모든 트랙이 다시 어레인지먼트를 재생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어레인지먼트 뷰의 각 트랙에는 각각의 **Back to Arrangement** 버튼이 따로 있어서, 특정 트랙만 선택적으로 어레인지먼트 재생으로 복귀시킬 수도 있습니다.
싱글 트랙에서의 Back to Arrangement 버튼
![[Pasted image 20250329103522.png]]
세션 뷰에서 **Arrangement Record(어레인지먼트 녹음)** 버튼을 활성화하면, 세션에서의 현재 상태를 어레인지먼트에 그대로 캡처(기록)할 수도 있습니다.
Arrangement 레코드 버튼
![[Pasted image 20250329103615.png]]
레코드 모드를 비활성화하거나 Stop 버튼을 눌러 Live의 재생을 멈추면, 변경된 어레인지먼트가 남게 됩니다.
### 3.5. Audio and Midi
클립은 녹음된 신호를 나타냅니다. Live는 두 가지 유형의 신호, 즉 **오디오 신호**와 **MIDI 신호**를 다룹니다. 디지털 세계에서 오디오 신호는 마이크가 생성하거나 스피커로 전달되는 연속적인 신호를 근사화한 일련의 숫자입니다. 반면, MIDI 신호는 “지금 C4음을 메조 피아노로 연주하라”와 같은 일련의 명령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MIDI는 오디오 녹음보다는 악보에 더 가까운 **음악적 재료의 상징적 표현**입니다. MIDI 신호는 MIDI나 USB 키보드 같은 입력 장치로부터 생성됩니다.
MIDI 신호를 실제로 들을 수 있는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려면 **악기**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Live의 **Simpler** 같은 악기는 하나의 사운드를 키보드로 크로매틱하게 연주할 수 있게 해주고, **Impulse** 같은 악기는 키보드의 각 키에 서로 다른 타악기 소리를 할당합니다.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트랙**에서 녹음 및 재생되고, MIDI 신호는 **MIDI 트랙**에서 녹음 및 재생됩니다. 이 두 트랙 유형은 각각 고유한 클립 유형을 가지고 있으며, **오디오 클립은 MIDI 트랙에 존재할 수 없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입니다.**
오디오 및 MIDI 트랙을 삽입하거나 재배열 또는 삭제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는 _Mixing_ 챕터의 _Audio and MIDI Tracks_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3.6. Audio Clips and Samples
오디오 클립은 샘플(“사운드 파일” 또는 “오디오 파일”이라고도 불리는) 또는 MP3와 같은 압축된 샘플에 대한 **참조(reference)** 를 포함합니다. 클립은 Live에 해당 샘플이 컴퓨터의 드라이브 어디에 있는지, 샘플의 어느 부분을 재생할지, 그리고 **어떻게 재생할지**를 알려줍니다.
Live의 내장 브라우저에서 샘플을 드래그해 가져오면, Live는 자동으로 해당 샘플을 재생할 **클립을 생성**합니다. 샘플을 드래그하기 전에, 브라우저에서 직접 **미리 듣기(preview)** 가 가능하며, 브라우저에 있는 **헤드폰 아이콘이 있는 스위치**를 활성화하면 프리뷰 기능이 작동됩니다.
브라우저에서 오디오 프리뷰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로 샘플 사운드를 선택한 화면
![[Pasted image 20250329104004.png]]
Live는 샘플을 새롭고 흥미로운 방식으로 재생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원본 샘플을 실제로 변경하지 않고도 수많은 새로운 사운드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 이러한 모든 변화는 **샘플이 재생되는 동안 실시간으로 계산**되어 적용됩니다.
이와 관련된 설정은 **클립을 더블 클릭하면 열리는 Clip View(클립 뷰)** 에서 조절할 수 있습니다.
클립 뷰에서 보게 되는 오디오 클립의 각종 설정 가능한 속성들
![[Pasted image 20250329104111.png]]
Live의 **워핑(Warping)** 기능을 통해 강력한 사운드 변형이 가능합니다. 워핑이란 **샘플의 재생 속도를 피치(음높이)와 독립적으로 조절하여 곡의 템포에 맞추는 것**을 의미합니다. 템포는 **상단 컨트롤 바의 Tempo 필드**에서 실시간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컨트롤 바에서의 템포 필드
![[Pasted image 20250329104150.png]]
이 기술의 가장 기본적인 활용, 그리고 일반적으로 별도의 수동 설정이 필요 없는 사용법은 **샘플 루프를 선택한 템포에 동기화시키는 것**입니다. Live의 **Auto-Warp 알고리즘** 덕분에, 예를 들어 **술에 취한 재즈 밴드의 연주 녹음**처럼 템포가 일정하지 않은 샘플도 손쉽게 곡의 템포에 맞춰 정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워프 설정을 극단적으로 조정하면 **소리의 음색 자체를 급격하게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합니다.
### 3.7. MIDI Clips and MIDI Files
MIDI 클립은 **MIDI 노트와 컨트롤러 엔벨로프 형태의 음악적 자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MIDI 파일에서 MIDI를 가져오면, 해당 데이터는 Live 세트에 **직접 포함**되며, 그 이후에는 **원본 파일을 참조하지 않습니다.**
Live의 브라우저에서 MIDI 파일은 **특수 아이콘**과 함께 **.mid 파일 확장자**로 표시됩니다.
브라우저에서 드래그 된 MIDI 파일
![[Pasted image 20250329104310.png]]
예상할 수 있듯이, MIDI 클립의 내용은 **Clip View(클립 뷰)**를 통해 접근하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멜로디를 변경하거나, 드럼 패턴을 **그리듯이(paint)** 작성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클립 뷰에서 보이는 MIDI 클립의 설정 가능한 속성들
![[Pasted image 20250329104406.png]]
### 3.8. Devices and the Mixer
트랙에는 클립뿐만 아니라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체인(device chain)** 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트랙의 **제목 표시줄을 더블 클릭**하면 **Device View(디바이스 뷰)** 가 열리며, 해당 트랙에 연결된 디바이스 체인이 표시됩니다.
MIDI 트랙의 장치(디바이스) 체인을 보여주는 Device View
![[Pasted image 20250329104642.png]]
Live의 **내장 디바이스(Built-in Devices)** 는 **브라우저** 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사용 예시 화면
![[Pasted image 20250329104721.png]]
Live에서는 **플러그인 디바이스**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VST**와 **Audio Units(macOS 전용)** 플러그인은 브라우저의 **Plug-Ins 레이블**에서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Pasted image 20250329104828.png]]
오디오 트랙에서 오디오 클립이 재생되고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클립에서 나온 **오디오 신호는 체인의 가장 왼쪽에 있는 디바이스로 전달**됩니다. 이 디바이스는 신호를 **처리(변형)** 한 뒤 그 결과를 다음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이런 방식으로 체인을 따라 신호가 계속 흐르게 됩니다. 한 트랙에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수는 **이론적으로는 무제한**이지만, 실제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 속도**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 수에 제한을 걸게 되며, 이 부분은 별도로 다룰 만한 주제입니다.
참고로, 오디오 디바이스 간의 **신호 연결은 항상 스테레오**이지만, Live의 **입출력 설정(Audio Settings)** 에서 **모노**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신호가 디바이스 체인을 모두 거치면, 최종적으로 **Live의 믹서**로 들어가게 됩니다. 세션 뷰와 어레인지먼트 뷰는 **같은 트랙 세트를 공유**하므로, **믹서도 함께 공유**됩니다. 믹서는 양쪽 뷰에서 모두 표시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어레인지먼트 뷰에서의 믹서
![[Pasted image 20250329104855.png]]
화면 레이아웃을 최적화하기 위해, **개별 믹서 섹션**은 **View 메뉴의 "Mixer Controls" 항목**이나 Live 창 오른쪽 하단에 있는 **믹서 뷰 컨트롤 옆의 메뉴**를 통해 **표시하거나 숨길 수 있습니다.**
믹서 컨트롤
![[Pasted image 20250329104943.png]]
믹서에는 **볼륨**, **팬 위치(스테레오 위치 조정)**, 그리고 **센드(Send)** 컨트롤이 있으며, 이를 통해 각 트랙이 **리턴 트랙(return track)의 입력에 얼마나 기여할지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리턴 트랙은 클립을 담지 않고 오직 이펙트만 호스팅**합니다. 모든 트랙은 센드를 통해 자신의 신호 일부를 리턴 트랙으로 보내고, 해당 이펙트를 **공유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믹서에는 또한 **크로스페이더(Crossfader)**가 포함되어 있어, **다른 트랙에서 재생 중인 클립들 간에 부드러운 전환**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Live의 크로스페이더는 일반적인 DJ 믹서의 크로스페이더처럼 작동하지만, **두 트랙뿐만 아니라 여러 트랙 — 리턴 트랙을 포함해서 — 사이에서도 크로스페이딩이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크로스페이더와 트랙 크로스페이더 할당 버튼
![[Pasted image 20250329105042.png]]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출력하는 디바이스를 **오디오 이펙트(audio effects)**라고 합니다. 오디오 이펙트는 **오디오 트랙이나 리턴 트랙에만** 넣을 수 있는 유일한 디바이스 유형입니다. 하지만, **MIDI 트랙**에서는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두 가지 더 있습니다: **MIDI 이펙트**와 **악기(instruments)** 입니다.
MIDI 트랙에서 클립이 재생되고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클립에서 생성된 **MIDI 신호는 트랙의 디바이스 체인으로 전달**됩니다. 이 신호는 먼저 여러 개의 MIDI 이펙트를 거칠 수 있습니다. **MIDI 이펙트는 MIDI 신호를 입력받고 다시 MIDI로 출력하는 디바이스**입니다. 예를 들어 **Scale 이펙트**는 들어오는 노트를 사용자가 정의한 **음계에 맞게 조정**합니다. 체인의 마지막 MIDI 이펙트 다음에는 **악기(instrument)** 가 위치합니다. 예를 들어 Live의 **Simpler**나 **Impulse** 같은 악기는 **MIDI 신호를 받아 오디오로 변환**합니다. 그리고 이 악기 다음에는 오디오 트랙과 마찬가지로 **여러 개의 오디오 이펙트**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MIDI 트랙에 있는 MIDI 이펙트, 악기, 그리고 몇 가지의 오디오 이펙트![[Pasted image 20250329105236.png]]
MIDI 트랙에 악기(그리고 오디오 이펙트)도 없다면, 해당 트랙의 출력은 단순한 MIDI 신호가 되며, 오디오로 변환되기 위해 다른 곳으로 전송되어야 합니다. 이 경우, 해당 트랙의 믹서에서는 믹스 및 센드 컨트롤이 사라집니다.
악기가 없을 때의 믹서에서의 미디 트랙
![[Pasted image 20250329105337.png]]
### 3.9. Presets and Racks
모든 Live 디바이스는 특정 파라미터 설정 값을 **프리셋(preset)** 으로 저장하고 불러올 수 있습니다. 프리셋은 Live 세트와는 **독립적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새로 저장된 프리셋은 **사용자 라이브러리(User Library)** 의 일부가 되어 어떤 프로젝트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Live의 **Instrument Rack, Drum Rack, Effect Rack**은 여러 디바이스와 그 설정값들을 **하나의 프리셋으로 저장**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 기능을 통해 강력한 **멀티 디바이스 조합**을 만들 수 있으며, Live의 내장 악기에 **MIDI 및 오디오 이펙트의 모든 기능을 결합**할 수 있습니다.
### 3.10. Routing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모든 트랙은 오디오 또는 MIDI 신호를 출력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신호는 어디로 전달될까요? 이 경로는 **믹서의 In/Out 섹션**에서 설정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각 트랙의 **신호 소스와 목적지를 선택하는 메뉴(chooser)**가 제공됩니다.
**In/Out 섹션은 View 메뉴의 Mixer Controls 하위 메뉴에서 In/Out 옵션을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이는 Live의 **“패치베이(patchbay)”** 역할을 합니다. 이 라우팅 옵션들을 활용하면 **리샘플링(resampling)**, **서브믹싱(submixing)**, **신스 레이어링**, **복잡한 이펙트 구성** 등 다양한 **창의적이고 기술적인 작업**이 가능해집니다.
트랙 라우팅은 어레인지먼트 뷰(왼쪽) 또는 세션 뷰(오른쪽)의 **In/Out 섹션**을 사용하여 설정됩니다: 예시 화면
![[Pasted image 20250329105509.png]]
트랙의 신호는 컴퓨터의 오디오 및 MIDI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로 보낼 수 있으며, 다른 프로그램이나 Live 내의 다른 트랙 또는 디바이스에 연결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여러 트랙을 **그룹 트랙(Group Track)** 으로 묶어, 선택된 트랙들의 **서브믹서(submixer)** 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트랙을 **입력 신호를 받아 해당 트랙의 디바이스를 통해 재생**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이 입력 신호는 외부에서 오거나, Live 내의 다른 트랙이나 디바이스로부터 올 수도 있습니다. **Monitor 컨트롤**은 입력 신호가 어떤 조건에서 트랙을 통해 들릴지를 조절합니다.
또한, 트랙의 디바이스 체인 내에서 **External Audio Effect** 및 **External Instrument** 디바이스를 사용해 **외부 하드웨어 장치로 신호를 라우팅**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3.11. Recording New Clips
오디오 트랙과 MIDI 트랙은 **입력 신호를 녹음하여 새로운 클립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트랙의 **Arm 버튼**을 누르면 해당 트랙의 녹음이 활성화됩니다. 여러 트랙이 선택된 상태에서 이들 중 하나의 Arm 버튼을 누르면 **모든 선택된 트랙이 함께 녹음 대기 상태**가 됩니다. 또한 **Ctrl(윈도우) / Cmd(맥)** 키를 누른 채 Arm 버튼을 클릭하면 **여러 트랙을 동시에** 녹음 대기 상태로 만들 수 있습니다.
**Record Settings(녹음 설정)** 에서 **Exclusive Arm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을 경우, 새로운 MIDI 트랙이나 비어 있는 MIDI 트랙에 악기를 삽입하면 **해당 트랙이 자동으로 Arm 상태**가 됩니다.
**컨트롤 바의 Arrangement Record 버튼이 켜져 있는 동안**에는, **모든 Arm 상태의 트랙이 입력 신호를 어레인지먼트에 녹음**하게 됩니다. 각 테이크마다 **트랙별로 새로운 클립**이 생성됩니다.
세션 뷰에서 보이는 트랙의 Arm 버튼
![[Pasted image 20250329105710.png]]
세션 뷰의 슬롯에 **실시간으로 녹음**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 기술은 음악을 멈추지 않고 녹음할 수 있기 때문에 **즉흥 연주를 하는 뮤지션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Session Record 버튼을 클릭하면**, 선택된 세션 씬(scene) 내의 **모든 Arm 상태 트랙에 새로운 클립이 녹음**됩니다.
컨트롤 바에서의 세션 레코드(Session Record) 버튼
![[Pasted image 20250329105800.png]]
세션 녹음은 **오버더빙(overdubbing)** 과 **레코드 퀀타이즈(Record Quantization)** 와 함께 사용할 때, **드럼 패턴을 만드는 데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이 방식은 루프가 재생되는 동안 **노트를 하나씩 추가하면서 점점 패턴을 완성**해 나가는 방식입니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은 **MIDI 키보드(또는 컴퓨터 키보드)** 와, Live의 **Impulse 퍼커션 악기가 로드된 MIDI 트랙**뿐입니다.
### 3.12. Automation Envelopes
Live의 믹서와 이펙트를 다루다 보면, **컨트롤의 움직임을 세트(Set)의 일부로 포함시키고 싶을 때**가 많습니다. **어레인지먼트 타임라인 또는 세션 클립을 따라 컨트롤이 변화하는 것, 여기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값이 자동으로 변화하는 것** 을 **오토메이션(automation)** 이라고 합니다. 오토메이션은 **브레이크포인트(점)로 구성된 곡선(envelope)**으로 표현되며, 이를 **그리거나, 편집하거나, 실시간으로 녹음**할 수 있습니다.
어레인지먼트 뷰에서 보이는 오토메이션 값이 조정된 파라미터 모습
![[Pasted image 20250329105924.png]]
Live에서는 **거의 모든 믹서 및 이펙트 컨트롤**, 심지어 **곡의 템포까지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오토메이션을 녹음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Control Bar의 Automation Arm 버튼과 Arrangement Record 버튼이 켜진 상태에서** 컨트롤을 조작하면, 그 변화가 **어레인지먼트 뷰에 오토메이션으로 기록**됩니다. 세션 뷰에서 녹음 중 Automation Arm 버튼이 켜진 상태에서 컨트롤을 조절하면, 오토메이션은 **세션 클립 안에 기록**됩니다.
녹음 중이 아닐 때 자동화된 컨트롤 값을 변경하면, 이는 어레인지먼트가 재생 중일 때 세션 클립을 실행하는 것과 비슷하게 작동합니다. 즉, 해당 컨트롤의 오토메이션이 **비활성화되며**, 새로운 값이 적용됩니다. 이 상태에서는 오토메이션이 더 이상 작동하지 않고, **새로운 설정 값으로 멈춘 채 유지**됩니다. 이 자동화를 다시 활성화하려면 **Re-Enable Automation(자동화 다시 활성화)** 버튼을 누르거나, **오토메이션을 포함한 세션 클립을 실행**하면 됩니다.
### 3.13. Clip Envelopes
**엔벨로프(envelope)** 는 트랙과 클립 모두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클립 엔벨로프**는 디바이스와 믹서 컨트롤을 **자동화하거나 변조(modulation)** 하는 데 사용됩니다. 오디오 클립에는 이와 더불어 **피치, 볼륨 등**에 영향을 주는 클립 전용 엔벨로프가 있으며, 이를 통해 **녹음된 오디오의 멜로디나 리듬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MIDI 클립에는 **MIDI 컨트롤러 데이터를 표현하는 추가적인 클립 엔벨로프**도 존재합니다.
클립 엔벨로프는 **클립과의 연결을 해제(unlink)** 할 수 있어서, **엔벨로프만 별도의 루프 설정**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페이드아웃 같은 큰 변화**나 **아르페지오 같은 작은 움직임**을 클립의 내용 위에 **겹쳐서 적용**할 수 있습니다.
클립 트랜스포지션(음 높이 이동)을 위한 엔벨로프
![[Pasted image 20250329110311.png]]
### 3.14. MIDI and Key Remote
뮤지션이 마우스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Live의 대부분의 컨트롤은 **외부 MIDI 컨트롤러를 통해 원격 제어(리모트 컨트롤)** 할 수 있습니다. 리모트 매핑은 컨트롤 바의 MIDI 스위치를 눌러 **MIDI Map Mode(매핑 모드)** 를 활성화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드에서는 믹서나 이펙트의 아무 컨트롤이나 클릭한 다음, 원하는 MIDI 메시지(예: MIDI 컨트롤러의 노브를 돌리는 동작)를 보내기만 하면 **간단히 해당 컨트롤에 할당**할 수 있습니다. MIDI Map Mode를 종료하면 **설정한 매핑이 즉시 적용**됩니다. 세션 클립은 **MIDI 키 또는 건반의 음역대**에 매핑하여 **크로매틱하게 연주**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Live의 컨트롤에 매핑된 **MIDI 키 및 컨트롤러는 MIDI 트랙을 통해 녹음용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이러한 메시지는 MIDI 트랙으로 전달되기 전에 **필터링되어 제거**됩니다.
Key / MIDI 맵 컨트롤
![[Pasted image 20250329110357.png]]
세션 클립, 스위치, 버튼, 라디오 버튼 등은 **컴퓨터 키보드의 키에도 매핑**할 수 있습니다. 이 작업은 **Key Map Mode**에서 이루어지며, 방식은 **MIDI Map Mode와 동일**하게 작동합니다.
이러한 범용 매핑 기능 외에도, Live는 **Ableton Push 1, Push 2, Push 3**에 대한 **전용 지원**도 제공합니다.
### 3.15. Saving and Exporting - 저장하기와 내보내기
Live 세트를 저장하면, **모든 클립과 그 위치 및 설정**, 그리고 **디바이스와 컨트롤의 설정값**까지 포함하여 전체가 저장됩니다. 하지만 **오디오 클립은 해당 샘플이 디스크에서 이동되거나 삭제될 경우 연결이 끊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클립과 샘플 간의 연결을 유지하려면, **Collect All and Save(모두 수집 및 저장)** 명령을 사용하면 됩니다. 이 명령은 각 샘플의 복사본을 만들어 Live 세트와 함께 **프로젝트 폴더에 저장**해줍니다.
또한, 오디오 클립의 **클립 제목 표시줄에 있는 별도의 저장 버튼**을 통해 **기본 클립 설정을 샘플과 함께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해당 샘플을 프로그램에 다시 드래그할 때 **저장된 설정값이 자동으로 적용**됩니다. 특히, **특정 워프 설정**을 여러 Live 세트에서 반복적으로 사용하려는 경우에 유용합니다.
Live에서 오디오를 내보내는 작업은 **세션 뷰와 어레인지먼트 뷰 모두**에서 가능하며, **파일(File) 메뉴의 ‘Export Audio/Video’** 를 선택하거나 **단축키 Ctrl+Shift+R (Win) / Cmd+Shift+R (Mac)** 을 사용하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Live는 **메인 출력으로 나오는 오디오**를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오디오 파일로 내보내며**, 내보내기 옵션은 Export Audio/Video 대화 상자에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Live는 **개별 MIDI 클립을 MIDI 파일로 내보내는 것**도 지원합니다.
Live에서 나중에 사용할 수 있도록 **소재를 저장하고 내보내는 가장 간편한 방법 중 하나는 Live Clip 포맷**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세션 뷰의 클립을 Live 세트 밖으로 드래그하여 **사용자 라이브러리(User Library)** 에 놓으면, 해당 클립은 디스크에 **Live Clip 형식으로 내보내져 저장**됩니다.
브라우저에서의 Live Clip
![[Pasted image 20250329110558.png]]
**Live Clip**은 아이디어를 저장하는 데 매우 강력한 도구입니다. 클립의 **Clip View 설정뿐만 아니라, 해당 트랙의 악기와 이펙트 체인까지 함께 저장**되기 때문입니다. 브라우저에 있는 Live Clip은 **샘플 파일처럼 미리 듣기(preview)할 수 있으며, 열려 있는 Live 세트에 자유롭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 Live 세트에 추가하면 **원래 클립의 창의적 설정들이 그대로 복원**됩니다.
Live Clip을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자신만의 라이브러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악기와 이펙트가 매칭된 MIDI 시퀀스** 예: Impulse와 이펙트 설정이 함께 저장된 MIDI 드럼 패턴
- **같은 소스 파일을 참조하는 다양한 루프나 영역**
- **Warp 마커, 클립 엔벨로프, 이펙트**를 적용해 만든 샘플 루프의 **다양한 변형본**
- 현재 프로젝트에는 맞지 않지만 **앞으로 유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