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 Managing Files and Sets 라이브 음악 제작에는 MIDI와 오디오가 포함된 파일부터 라이브 클립 및 라이브 세트와 같은 프로그램별 파일까지 다양한 유형의 파일이 사용됩니다. 여기에서는 라이브에서 이러한 각 파일 유형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을 다루게 됩니다. ### 5.1. Sample Files 샘플은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입니다. Live는 **압축되지 않은 파일 포맷(WAV, AIF, Mac용 Sound Designer II)**과 **압축된 파일 포맷(MP3, AAC, Ogg Vorbis, Ogg FLAC, FLAC)**을 모두 재생할 수 있습니다. (단, Lite 버전에서는 일부 파일 포맷을 지원하지 않음을 유의하세요.) Live는 샘플을 디스크에서 직접 재생하므로, **메모리 제한 없이 대용량 샘플**을 다룰 수 있습니다. 하지만 디스크가 거의 가득 찼거나, **Windows 시스템에서 디스크가 심하게 조각화된 경우**에는 **디스크 처리 성능**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하드 드라이브의 회전 속도도 디스크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디스크 부하 관리에 관한 내용은 관련 섹션을 참조하세요. Live는 **압축되지 않은 모노 또는 스테레오 샘플**을 샘플 길이, 샘플 속도, 비트 깊이에 상관없이 **사전 변환 없이** 결합할 수 있습니다. 압축된 샘플을 재생하려면, Live는 샘플을 디코딩하고 그 결과를 **임시로 압축되지 않은 샘플 파일**에 기록합니다. 이 과정은 충분히 빠르게 진행되므로, 디코딩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샘플을 즉시 재생할 수 있습니다. **참고**: 긴 샘플을 프로젝트에 추가할 때, Live가 샘플을 **분석하기 전에 재생할 수 없다고 알려줄 수 있습니다**. 분석에 대한 설명은 분석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5.1.1. The Decoding Cache - 디코딩 캐시 컴퓨터 자원을 절약하기 위해, Live는 압축 샘플의 **디코딩된 파일을 캐시에 저장**합니다. 캐시 관리가 보통 필요하지 않으며, Live는 **자동으로 오래된 파일을 삭제**하여 새로운 파일을 위한 공간을 만듭니다. 하지만 **파일 및 폴더 설정**의 **디코딩 캐시 섹션**에서 캐시 크기 제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캐시는 **최대 캐시 크기 설정**을 넘지 않으며, 항상 **하드 디스크의 최소 여유 공간**을 남깁니다. 그리고 근처의 **정리 버튼(Cleanup)**을 눌러 현재 Live 세트에서 사용되지 않는 모든 파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Pasted image 20250329132939.png]] #### 5.1.2. Analysis Files (.asd) 분석 파일은 샘플 파일을 처음 프로그램에 불러올 때 **Live가 생성하는 작은 파일**입니다. 분석 파일에는 Live가 샘플의 **스트레칭 품질 최적화**, **파형 표시 속도 향상**, **긴 샘플의 템포 자동 감지**를 돕기 위해 수집한 데이터가 포함됩니다. 긴 샘플을 프로젝트에 추가할 때, Live는 샘플을 **분석하기 전에 재생할 수 없다고 알려줄 수 있습니다**. 이미 분석된 샘플이거나, **레코딩, 워프 및 런치 설정에서 Auto-Warp Long Samples 옵션이 비활성화된 경우**에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분석 파일은 **샘플에 대한 기본 클립 설정**도 저장할 수 있습니다. 클립 뷰에서 **저장(Save)**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클립 설정이 샘플의 분석 파일과 함께 저장됩니다. 이렇게 저장된 샘플을 다시 Live로 드래그하면, 클립 설정이 그대로 적용된 상태로 나타납니다. 이 기능은 특히 **워프 마커 설정**을 저장하는 데 유용합니다. 분석 파일에 기본 클립 설정을 저장하는 것은 **Live 클립을 저장**하는 것과 다릅니다. 분석 파일의 이름은 관련 샘플의 이름과 동일하며, “.asd” 확장자가 추가됩니다. Live는 이 분석 파일을 샘플과 동일한 폴더에 저장합니다. ![[Pasted image 20250329133023.png]] 분석 파일 자체는 Live의 브라우저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파일 및 폴더 설정에서 분석 파일 생성 옵션을 끄면 .asd 파일이 생성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하세요. .asd 파일이 누락된 경우 기본 클립 설정을 제외한 모든 데이터를 Live에서 다시 만들 수 있지만, 샘플이 길어지면 시간이 좀 걸릴 수 있습니다. #### 5.1.3. Exporting Audio and Video - 오디오와 비디오 내보내기 파일 메뉴의 **Export Audio/Video** 명령을 사용하면 Live의 오디오 출력을 새로운 샘플로 내보낼 수 있습니다. 결과 파일은 **오디오 CD**를 굽거나, **작업 백업용 데이터 CD**로 사용하거나, 다른 디지털 오디오 응용 프로그램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세트에 비디오가 포함된 경우, **Export Audio/Video** 명령을 사용하여 이 비디오를 새 비디오 파일로 내보낼 수 있으며, 이 비디오는 렌더링된 오디오 파일과 같은 디렉토리에 생성됩니다. 비디오 내보내기는 **Lite** 및 **Intro 에디션**에서는 사용할 수 없음을 유의하세요. ##### 5.1.3.1. Selection Options ![[Pasted image 20250329133730.png]] 렌더 대화 상자의 **선택 옵션**. **Export** 대화 상자의 **렌더 트랙 선택기(Rendered Track chooser)**는 어떤 오디오 신호를 렌더링할지 선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옵션을 제공합니다: ![[Pasted image 20250329133850.png]] - **Main** — Live의 **메인 출력**에서 페이더 후 신호입니다. 메인 출력을 모니터링 중이라면 렌더링된 파일이 정확히 들리는 내용만 포함될 것이라고 확신할 수 있습니다. - **All Individual Tracks** — 각 개별 트랙, 리턴 트랙, 악기가 포함된 MIDI 트랙의 페이더 후 신호입니다. Live는 각 트랙마다 별도의 샘플을 생성합니다. 모든 샘플은 길이가 같으며, 다른 멀티트랙 프로그램에서 쉽게 정렬할 수 있습니다. - **Selected Tracks Only** — **All Individual Tracks** 옵션과 동일하지만, **Export 대화 상자를 열기 전에 선택된 트랙만 렌더링**합니다. - **(각 단일 트랙)** — 선택된 트랙의 페이더 후 신호입니다. 다른 선택 필드는 내보낼 자료의 **시작 시간(Render Start)**과 **길이(Render Length)**를 설정합니다: - **Render Start** — 렌더링이 시작될 위치를 설정합니다. - **Render Length** — 렌더링된 샘플의 길이를 결정합니다. **팁:** 렌더 시작 시간과 길이를 빠르게 설정하려면, **어레인지먼트 뷰에서 시간 범위를 선택**한 후 **Export Audio/Video** 명령을 실행하세요. 하지만 기억하세요 — 렌더링된 오디오 파일에는 **렌더링 전에 들었던 내용만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세션 뷰 클립과 어레인지먼트 자료의 조합**을 재생 중이라면 그 내용이 렌더링된 파일에 포함됩니다. 이는 어떤 뷰가 활성화되어 있는지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 5.1.3.2. Rendering Options - 렌더링 옵션 ![[Pasted image 20250329133924.png]] Export 대화 상자에는 여러 오디오 렌더링 옵션이 있습니다: - **Include Return and Main Effects** — 이 옵션이 활성화되면, Live는 선택한 각 트랙을 해당 트랙에서 사용된 리턴 트랙과 메인 트랙에서 사용된 효과와 함께 개별적으로 렌더링합니다. 이는 **라이브 공연을 위한 자료 렌더링**이나 **믹싱 엔지니어나 리믹스 아티스트에게 제공**할 때 특히 유용합니다. - **Render as Loop** — 이 옵션이 활성화되면, Live는 **루프용 샘플**을 만듭니다. 예를 들어, **Live Set에 딜레이 효과**가 사용되면, 이 옵션을 켠 상태에서 렌더링하면 **두 번 렌더링**이 진행됩니다. 첫 번째는 샘플을 디스크에 기록하지 않고, 지정된 딜레이 효과만 추가합니다. 두 번째 패스에서 오디오가 디스크에 기록될 때는 첫 번째 패스에서 발생한 딜레이 “테일”도 포함됩니다. - **Convert to Mono** — 이 옵션이 활성화되면, Live는 **스테레오 파일 대신 모노 파일**을 생성합니다. - **Normalize** — 이 옵션이 활성화되면, 렌더링된 샘플이 **정규화**되어 파일의 최대 피크가 가능한 최대 헤드룸에 도달합니다. - **Create Analysis File** — 이 옵션이 활성화되면, Live는 렌더링된 샘플에 대한 분석 정보를 포함한 **.asd 파일**을 생성합니다. 이 새로운 샘플을 Live에서 사용하려면 이 옵션을 체크하세요. - **Sample Rate** — 샘플 속도 선택은 다음과 같이 작동합니다: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샘플 속도와 동일하거나 더 높은 샘플 속도를 선택하면, **하나의 단계에서 내보내기**가 이루어집니다. 현재 프로젝트 샘플 속도보다 낮은 샘플 속도로 내보내는 경우에는, Live는 먼저 **현재 프로젝트 샘플 속도**에서 내보낸 후, 두 번째 단계에서 **고품질 프로세스로 다운샘플링**합니다. 이 과정은 몇 분 정도 걸릴 수 있습니다. ##### 5.1.3.3. Encoding Options - 인코딩 옵션 ![[Pasted image 20250329134006.png]] **오디오 인코딩 옵션**. - **Encode PCM** — 활성화되면, **무손실 오디오 파일**이 생성됩니다. - **파일 형식** — **WAV**, **AIFF**, **FLAC** 형식이 PCM 내보내기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 **비트 깊이, 디더 옵션** — 비트 깊이가 32비트 미만으로 렌더링되는 경우, **디더(dither)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세요. 디더링은 렌더링된 오디오에 소량의 잡음을 추가하지만 비트 깊이를 줄일 때 발생할 수 있는 아티팩트를 최소화합니다. 기본적으로 **Triangular**가 선택되어 있으며, 이는 **추가 처리 가능성**이 있을 경우 가장 안전한 모드입니다. **Rectangular** 모드는 더 적은 양의 디더링을 추가하지만 추가적인 양자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ow-r** 모드는 점차적으로 더 많은 디더링을 제공하지만, 소음이 **가청 범위를 넘는 곳에 위치**하게 됩니다. **Pow-r 모드는 추가 처리 시에는 사용하지 말아야 하며, 최종 출력만을 위해 사용해야 합니다**. (Lite 및 Intro 버전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 **Encode MP3** — 활성화되면, **CBR 320 kbps MP3 파일**이 생성됩니다. PCM과 MP3를 동시에 내보낼 수 있습니다. 두 가지 중 하나라도 활성화되지 않으면 **Export 버튼이 비활성화**됩니다. ##### 5.1.3.4. Video Rendering Option ![[Pasted image 20250329134158.png]] (참고: 비디오 렌더링은 Lite 및 Intro 에디션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오디오 렌더링 옵션 외에도 **Export** 대화 상자에서는 **비디오 렌더링**을 위한 추가 옵션이 제공됩니다: - **Create Video** — 이 옵션이 활성화되면, **렌더링된 오디오 파일과 동일한 디렉토리**에 비디오 파일이 생성됩니다. 이 옵션은 **어레인지먼트 뷰**에 비디오 클립이 있는 경우에만 활성화됩니다. 또한, **비디오 파일만 렌더링**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비디오 렌더링을 활성화하면 오디오와 비디오가 모두 렌더링됩니다. - **Video Encoder** — 이 선택기를 통해 **비디오 렌더링을 위한 인코더**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선택할 수 있는 인코더는 설치된 인코더에 따라 달라집니다. - **Video Encoder Settings** — 이 버튼을 클릭하면 선택한 인코더에 대한 **설정 창**이 열립니다. 설정 옵션은 선택한 인코더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부 인코더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옵션이 없으며, 이 경우 **편집 버튼**은 비활성화됩니다. 렌더링이 시작되면 **오디오 렌더링**이 먼저 시작되고, 오디오 렌더링이 완료된 후, 비디오가 렌더링됩니다. 비디오 렌더링은 **인코더에 따라 한 번 이상의 패스**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Live는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진행 막대**를 표시합니다. 렌더링된 비디오 파일은 **Live에서 실시간 재생 중 나타났던 비디오처럼** 재생됩니다. 이 비디오 파일은 **렌더링된 오디오**도 포함합니다. ##### 5.1.3.5. Real-Time Rendering 일반적으로 렌더링은 **오프라인** 프로세스로 진행됩니다. 그러나 세트에 **외부 오디오 이펙트**나 **외부 악기**가 포함되어 하드웨어 효과 장치나 신디사이저로 라우팅되는 경우, 렌더링 프로세스가 약간 다르게 진행됩니다. 이 경우, **메인 출력 렌더링은 실시간으로** 진행됩니다. 단일 트랙을 렌더링하는 경우, 신호 경로에 외부 장치로 라우팅되지 않는 모든 트랙은 오프라인으로 렌더링됩니다. 그런 다음 이러한 장치에 액세스하는 모든 트랙이 실시간으로 렌더링됩니다. Live는 각 트랙의 신호 흐름을 자동으로 추적하고 실시간 렌더링이 필요한지 감지합니다. 렌더링을 시작하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옵션이 표시됩니다: ![[Pasted image 20250329134537.png]] - Skip  — 기본적으로 Live는 실시간 렌더링을 시작하기 전에 10초 동안 기다립니다. 이렇게 하면 외부 장치에서 나오는 모든 소리가 사라질 수 있지만,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한 경우(예: 긴 리버브 테일을 기다리는 경우) 숫자 상자에 새 숫자를 입력하여 대기 시간을 늘릴 수 있습니다. 반면에 외부 장치에서 소리가 나지 않는 것이 확실하다면 " 건너뛰기"를 눌러 프로세스를 가속화하면 렌더링이 즉시 시작됩니다. 렌더링이 시작되면 대화 상자가 변경되어 녹화 진행률 표시줄이 표시됩니다: ![[Pasted image 20250329134554.png]] - Auto-Restart on drop-outs — 실시간 렌더링은 비실시간 렌더링보다 CPU 성능이 다소 더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 드롭아웃(오디오의 작은 틈이나 결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라이브는 드롭아웃이 발생하는 시점을 감지하며, 자동 재시작 옵션이 활성화되면 렌더링이 처음부터 다시 시작됩니다. - Restart — 렌더링 프로세스를 수동으로 재시작합니다. - Cancel — 렌더링 프로세스를 중지하고 부분적으로 렌더링된 파일을 삭제합니다. 렌더링 시도 횟수(여러 번 시도한 경우)도 대화 상자에 나열됩니다. 중단 및 재시작이 계속 발생하는 경우 다른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여 렌더링에 더 많은 처리 능력을 부여해야 합니다. 성능 향상에 대한 자세한 팁은 컴퓨터 오디오 리소스 장을 참조하세요. ### 5.2. MIDI Files MIDI 파일은 **MIDI 호환 신디사이저**나 **Live의 Simpler**와 같은 악기를 특정 음악 출력을 생성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파일입니다. MIDI 파일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MIDI 시퀀서**에서 내보낼 수 있습니다. Live에 MIDI 파일을 가져오는 방식은 샘플과 다릅니다. MIDI 파일 데이터는 **Live Set에 통합**되며, 결과적으로 생성된 MIDI 클립은 원본 파일에 대한 모든 참조를 잃게 됩니다. MIDI 파일은 브라우저에서 **특별한 아이콘**으로 표시됩니다. ![[Pasted image 20250329133219.png]] 브라우저나 **Create 메뉴**에서 **Import MIDI File…** 명령을 사용하여 MIDI 파일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어레인지먼트 뷰에서 Import MIDI File… 명령**을 사용할 경우, 파일은 **Insert Marker 위치**에 삽입됩니다. **세션 뷰에서 사용** 할 때에는 선택된 클립 슬롯에 파일이 삽입됩니다. #### 5.2.1. Exporting MIDI Files - MIDI 파일 내보내기 Live MIDI 클립은 **표준 MIDI 파일**로 내보낼 수 있습니다. MIDI 클립을 내보내려면 **파일 메뉴**에서 **Export MIDI Clip** 명령을 사용하세요. 이 명령은 **파일 저장 대화상자**를 열어 새 MIDI 파일의 저장 위치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줍니다. MIDI 파일 내보내기는 **Live Clip 저장**과 다릅니다. ### 5.3. Live Clips 개별 오디오 또는 MIDI 클립은 **Live Clip 형식**으로 디스크에 내보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어떤 프로젝트에서든 쉽게 검색하고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디오 클립은 **디스크에 있는 샘플에 대한 참조만 포함**하며(실제 오디오 데이터 자체는 포함되지 않음), 이로 인해 **크기가 매우 작습니다**. 따라서 **자신만의 샘플 컬렉션을 쉽게 개발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Live Set에서 열린 클립을 디스크에 저장**하려면, 해당 클립을 브라우저의 **Places** 섹션으로 드래그하고, **현재 프로젝트**나 **사용자 폴더**에 드롭하면 됩니다. 오디오 클립의 경우, Live는 **“Collect Files on Export”** 옵션에 따라 이 새로운 위치에 클립의 샘플을 복사하는 작업을 처리합니다. 그 후에는 **클립의 새 이름을 입력**하거나 Live에서 제안한 이름을 **Enter 키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Pasted image 20250329135001.png]] Live Clip은 아이디어를 나중에 사용하거나 개발하기 위한 훌륭한 방법입니다. 이 클립은 **원본 클립**뿐만 아니라 **클립과 관련된 모든 장치 및 이펙트 설정**도 저장하기 때문에, 창작한 아이디어를 **Live Set에 다시 적용**할 수 있습니다. Live Clip을 **디바이스 체인을 복원**하려면, 이를 **장치나 클립이 없는 트랙에 드래그하거나**, 세션 뷰나 어레인지먼트 뷰의 **트랙이 없는 공간**에 드래그하십시오. Live Clip이 이미 장치나 클립이 포함된 트랙에 임포트되면, **클립 설정만 포함**되고, 장치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기존 트랙에 베이스라인 Live Clip을 추가**하여 베이스 악기를 구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새 트랙을 만들지 않아도 됩니다. 디스크에 이미 존재하는 Live Set의 클립은 모두 **Live Clip**입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Live Set 병합** 섹션을 참조하세요. 샘플의 분석 파일(.asd)에 기본 클립 설정을 저장하는 것은 **Live Clip을 저장**하는 것과 다르다는 것을 유의하세요. **.asd 파일의 기본 클립**은 샘플에 **합리적인 기본 값**(워프, 게인 및 피치 설정)을 표시하여 세트에 추가될 때 정의된 방식으로 재생되도록 합니다. 반면 **Live Clip**은 **디스크에 별도로 저장된 음악 아이디어**입니다. 예를 들어, **같은 오디오 클립**을 **다른 워프, 피치, 엔벨로프 및 이펙트 설정**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버전을 만들고, 이를 **별도의 Live Clip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에서는 비록 이 클립들이 모두 **같은 소스 샘플**을 참조하고 있더라라도, 각 클립들을 **독립적으로 정렬하고 미리보기**할 수 있습니다. ### 5.4. Live Sets Live에서 작업하는 문서를 **Live Set**이라고 합니다. 이는 하나의 "곡"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Set은 프로젝트 내에 저장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Live는 **Live Clips**, **장치 프리셋**, **사용된 샘플** 등 Live Set의 다양한 구성 요소를 추적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 5.4.1. Creating, Opening and Savings Sets - Set 생성하기, 열기 및 저장하기 파일 메뉴의 New Live Set 명령을 사용하여 새 Set를 만들고, Open Live Set 또는 Open Recent Set 명령을 사용하여 기존 세트를 엽니다. 브라우저에서 Live Set을 두 번 클릭하거나 Enter 키를 눌러 열 수 있습니다. 파일 메뉴의 라이브 세트 저장 명령은 모든 클립과 설정을 포함하여 현재 Live Set을 그대로 저장합니다. 현재 Live Set As 저장 명령을 사용하여 다른 이름 및/또는 다른 디렉토리 위치에 현재 Live Set을 저장하거나, Save a Copy 명령을 사용하여 새 이름 및/또는 새 디렉토리 위치에 현재 Live Set의 복사본을 만들 수 있습니다. #### 5.4.2. Merging Sets - Set 병합하기 Live는 여러 개의 세트를 쉽게 병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는 다른 버전이나 파트를 결합할 때 유용합니다. Set에서 **모든 트랙을 다른 세트에 추가**하려면, 브라우저에서 세트를 **현재 세트로 드래그**하고 **트랙 제목 바**나 트랙 아래의 드롭 영역에 드롭합니다. 드롭한 세트의 트랙은 **세션 뷰**와 **어레인지먼트 뷰**에서 **클립, 장치, 자동화**를 포함하여 완전히 재구성됩니다. 세트를 드롭하려면 **세션 뷰**와 **어레인지먼트 뷰**의 **드롭 영역**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세션 뷰의 드롭 영역) ![[Pasted image 20250329140757.png]] (어레인지먼트 뷰의 드롭 영역) ![[Pasted image 20250329140857.png]] 세트를 **폴더처럼 펼쳐서** 세트의 **개별 트랙만 가져오려면** 세트를 펼친 후 원하는 트랙을 드래그하여 추가합니다. 이 방법은 **그루브**가 포함된 트랙을 **폴더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Pasted image 20250329140926.png]] 세트에서 **장치 체인**만 가져오려면, 브라우저에서 세트를 펼친 후, **Devices 아이콘**을 드래그하여 사용합니다. 이렇게 하면 장치와 그에 연결된 오디오 또는 MIDI 이펙트만 복사됩니다. ![[Pasted image 20250329141050.png]] 마치 개별 라이브 클립으로 저장된 것처럼 세트에서 세션 보기 클립을 탐색하거나 미리 보기 및 가져오기가 가능합니다. 즉, 모든 라이브 세트가 다른 모든 라이브 클립의 사운드 풀 역할을 할 수 있어 창의적인 재사용과 크로스오버를 가능케 해 줍니다. #### 5.4.3. Exporting Sessions Clips as New Sets - 세션 클립을 새로운 Set으로 내보내기 세션 뷰의 **클립 선택** 후 **브라우저로 드래그**하면, 해당 **세션 클립을 새 Live Set**으로 내보낼 수 있습니다. 내보낼 클립을 선택한 후, **Shift** 또는 **Ctrl (Win)** / **Option (Mac)** 키를 눌러 여러 개의 세션 클립을 선택하고, **브라우저로 드래그하여** 새 Set으로 내보낼 수 있습니다. 클립을 **현재 프로젝트** 또는 **사용자 폴더**에 놓으면, Live는 **추천 이름**을 제시하거나 **새 이름을 입력**할 수 있게 해줍니다. #### 5.4.4. Template Sets - 템플릿 Set **파일 메뉴**의 **Save Live Set As Default Set** 명령을 사용하여 **현재 Live Set을 기본 템플릿**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저장된 Set은 **새로운 Live Set을 만들 때 초기화된 상태**로 자동 로드됩니다. 이 템플릿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설정을 미리 구성할 수 있습니다: - 다채널 입력/출력 설정 - 각 트랙에 프리셋 장치들(예: EQ, 컴프레서 등) - 컴퓨터 키 매핑 - MIDI 매핑 템플릿 세트는 **템플릿 카테고리**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라이브러리**의 **템플릿 폴더**에도 저장됩니다. 첫 번째 템플릿 세트를 저장하면 자동으로 템플릿 폴더가 생성됩니다. 저장된 템플릿 Set은 **기본 Live Set**으로 설정되며, **새로운 Set으로 로드될 때 “Untitled.als”**라는 이름으로 나타납니다. #### 5.4.5. Viewing and Changing a Live Set's File References 현재 Live Set에 참조된 파일 목록을 보려면 **파일 메뉴**의 **Manage Files** 명령을 사용하고, **Manage Set 버튼**을 클릭한 후, **View Files 버튼**을 클릭하면 Live Set에 사용된 모든 파일 목록이 표시됩니다. 각 파일 항목 옆의 삼각형을 클릭하면 해당 파일이 **Set에서 사용되는 모든 클립이나 장치**를 볼 수 있습니다. - **파일 교체**: 브라우저에서 파일을 드래그하여 목록에 있는 항목에 놓으면 라이브 세트가 기존 파일 대신 새로운 파일을 참조하게 됩니다. 오디오 클립에서 사용되는 샘플의 경우, 라이브는 클립 속성을 유지합니다. 새로운 샘플이 이전 샘플과 동일하거나 길이가 더 길면 워프 마커는 그대로 유지되며, 그렇지 않으면 워프 마커는 삭제됩니다. 샘플을 교체하면 세트에서 이 샘플을 참조하는 모든 클립에 변경이 일어납니다. ![[Pasted image 20250329141605.png]] - **핫스왑 파일**: 각 항목의 왼쪽에 있는 핫스왑버튼을 사용하여 현재 참조되고 있는 파일에 대한 대체 파일을 빠르게 탐색할 수 있습니다. 이는 파일을 드래그하여 놓는 것보다 더 빠릅니다. ![[Pasted image 20250329141643.png]] - **참조된 샘플 편집**: 외부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샘플을 편집할 수 있습니다(이는 설정의 파일/폴더 탭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편집' 버튼을 클릭하면 외부 응용 프로그램에서 해당 샘플을 열 수 있습니다. 이 샘플은 '편집' 스위치가 활성화된 동안 오프라인 상태로 유지됩니다. 오디오 클립에서 사용되는 샘플의 경우, 샘플 길이가 동일하다면 기존의 워프 마커가 유지됩니다. '편집' 버튼은 샘플에 대해서만 사용 가능하며, Max for Live 장치와 같은 다른 파일 유형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asted image 20250329141655.png]] - **파일 위치 보기**: '위치' 열은 파일이 누락되었는지, 사용자 라이브러리나 프로젝트 내에 있는지, 아니면 다른 곳(예: 외부)에서 찾아볼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항목을 펼치면 파일이 사용되는 세트 내의 구체적인 위치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asted image 20250329141719.png]] ### 5.5. Live Projects 라이브 프로젝트는 관련된 라이브 파일들이 포함된 폴더입니다. 예를 들어, 음악 작품을 작업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처음에는 빈 라이브 세트를 시작하고, 오디오를 녹음하여 새로운 샘플 파일을 생성합니다. 그런 다음 컬렉션에서 샘플을 끌어오고, 작업하는 동안 다양한 버전의 라이브 세트를 저장하여 비교할 수 있습니다. 아마도 이 특정 음악 작품에 속하는 라이브 클립이나 장치 프리셋도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 라이브 프로젝트의 프로젝트 폴더는 해당 음악 작품과 관련된 모든 파일을 유지하며, 라이브의 파일 관리자는 이를 관리하는 도구를 제공합니다. #### 5.5.1. Projects and Live Sets 라이브 세트는 하나의 프로젝트 안에서 작업할 수 있는 단위입니다. 세트는 실시간 작업을 위한 기본 단위로, 그 안에서 사용되는 모든 파일을 포함합니다. 라이브 프로젝트 폴더는 라이브 세트 파일뿐만 아니라 해당 세트에서 사용된 오디오, MIDI, 프리셋 파일을 함께 저장합니다. 프로젝트를 저장하면 관련된 모든 파일들이 한 폴더에 보관됩니다. 이는 프로젝트를 다른 사람과 공유하거나, 나중에 작업을 재개할 때 유용합니다. 라이브에서 프로젝트를 열면 그 프로젝트에 속한 세트들을 다시 불러올 수 있습니다. 라이브 세트는 프로젝트 내에서만 작업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 파일을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세트와 작업 파일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큰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 5.5.2. Projects and Presets 라이브에서 프로젝트는 단지 세트 파일뿐만 아니라 장치 프리셋, 효과, MIDI 패턴 등도 저장합니다. 프로젝트를 저장하면 모든 관련된 프리셋 파일도 함께 보관됩니다. 따라서 작업을 마친 후에는 해당 프로젝트를 열었을 때 필요한 모든 프리셋들이 자동으로 불러와져서, 이전 상태를 그대로 복원할 수 있습니다. 프리셋을 프로젝트에 저장하면, 나중에 다른 세트나 프로젝트에서 해당 프리셋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라이브는 프리셋을 사용자 라이브러리에 저장하거나 프로젝트와 함께 저장할 수 있게 해줍니다. #### 5.5.3. Managing Files in a Projects 라이브 프로젝트 안에서 파일을 관리하는 것은 중요한 작업입니다. 프로젝트를 계속 작업하면서 여러 파일을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파일들이 잘 정리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새로 추가된 샘플 파일이나 MIDI 파일들이 올바르게 저장되고 참조되어야 합니다. 프로젝트 폴더 내에 파일들이 분류되어 저장되면, 다른 컴퓨터에서 프로젝트를 열었을 때 해당 파일들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내에서 파일을 이동하거나 이름을 바꾸는 경우, 라이브는 해당 파일을 자동으로 새로 참조하거나 업데이트합니다. 또한 'Collect All and Save' 기능을 사용하면, 프로젝트에 사용된 모든 파일들을 하나의 폴더로 모을 수 있어, 작업 중인 프로젝트가 필요한 파일들을 모두 포함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 5.6. Locating Missing Files 때때로, 라이브 세트에서 사용된 파일이 프로젝트 폴더 내에 없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라이브가 해당 파일을 찾지 못하고 누락된 파일 경고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 **수동 복구**: 수동으로 파일을 찾아 세트의 파일 경로를 업데이트합니다. 이는 파일의 위치를 직접 찾아 해당 파일을 세트에 다시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 **자동 복구**: 라이브가 자동으로 파일을 찾아 프로젝트를 다시 연결하도록 합니다. 라이브는 누락된 파일을 찾기 위해 몇 가지 기본적인 검색 경로를 사용합니다. ![[Pasted image 20250329160713.png]] #### 5.6.1. Manual Repair - 수동 복구 수동으로 누락된 파일을 복구하려면, '찾아보기' 버튼을 사용하여 누락된 파일을 찾습니다. 파일이 프로젝트 내에서 잘못된 위치에 있을 경우, 해당 파일을 올바른 위치로 이동시키고, 'File Manager' 기능을 사용하여 세트의 경로를 업데이트합니다. 이 방법은 파일이 명확한 위치에 있을 때 유용합니다. #### 5.6.2. Automatic Repair - 자동 복구 자동 복구를 활성화하면, 라이브가 프로젝트 내에서 누락된 파일을 찾기 위해 자동으로 몇 가지 경로를 검색합니다. 이 방식은 누락된 파일을 자동으로 찾고 프로젝트를 다시 연결할 수 있는 빠르고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Pasted image 20250329160735.png]] - 검색 폴더 - 검색에 사용자 정의 폴더와 하위 폴더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폴더를 선택하려면 관련 폴더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 검색 프로젝트 - 이 세트의 프로젝트 폴더를 검색에 포함합니다. - 검색 라이브러리 - 실시간 라이브러리를 검색에 포함합니다. 누락된 파일마다 자동 검색 기능이 원하는 수의 후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 후보를 찾을 수 없습니다 — 다른 폴더를 선택하고 다시 시도하거나 수동으로 샘플을 찾을 수 있습니다. - 한 후보가 발견되었습니다 — Live는 후보를 수락하고 문제가 해결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 여러 후보가 발견되었습니다 — Live를 사용하려면 도움이 필요합니다: 핫 스왑 버튼(누락된 파일 목록의 모든 줄에서 가장 왼쪽 항목)을 클릭하여 브라우저가 핫 스왑 모드로 후보를 표시하도록 합니다. 이제 브라우저에서 후보를 두 번 클릭하여 로드할 수 있으며, 음악이 재생됩니다. ### 5.7. Collecting External Files Live Set이 손상된 파일 참조를 포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Live는 이들을 Set의 프로젝트 폴더로 수집(즉, 복사)하는 옵션을 제공합니다. 이는 파일 관리자(File Manager)를 통해 수행됩니다: - 파일 메뉴에서 “Manage Files” 명령을 선택합니다. - “Manage Set” 버튼을 클릭합니다. - “External Files” 섹션의 삼각형 모양 펼침 버튼을 클릭합니다. ![[Pasted image 20250330113841.png]] 위치(다른 프로젝트, 사용자 라이브러리, 팩에 의해 설치된 항목, 기타 — 예: 외장 드라이브에서 가져온 샘플 컬렉션)별로 구분되어, 파일 관리자는 다음을 제공합니다: - 파일 수 및 사용된 디스크 공간 - 브라우저에서 파일을 나열하는 “Show” 버튼 - 수집을 실행 또는 해제할 수 있는 예/아니오 토글 참고: 파일 관리자(File Manager)의 “Collect and Save” 버튼을 클릭하여 선택사항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Pasted image 20250330113930.png]] 파일 메뉴의 “Collect All and Save” 명령은 현재 Set에서 참조하는 모든 외부 파일을 수집 및 저장하는 바로가기이며, Live의 Core Library 또는 설치된 기타 팩의 파일도 포함됩니다. Live Set이 큰 멀티샘플 컬렉션을 사용할 경우, 많은 양의 파일이 복사될 수 있습니다. #### 5.7.1. Collect Files on Export - 내보내기 시 파일 모으기 Live Clips, 디바이스 프리셋 또는 트랙을 브라우저로 드래그하여 저장할 때, Live는 “Library Settings”에 있는 “Collect Files on Export” 선택 메뉴에서 선택한 옵션을 기준으로 관련 파일 복사를 관리합니다. 이 선택 메뉴에는 다음과 같은 옵션이 있습니다: - 기본 설정인 “Always”는 알림 없이 파일을 클립, 프리셋 또는 트랙과 동일한 폴더로 복사합니다. - “Ask”를 선택하면, Live는 복사 옵션이 포함된 대화 상자를 제공합니다. - “Never”를 선택하면, 저장 시 파일이 복사되지 않습니다. ### 5.8. Aggregated Locating and Collecting 창작을 하는 동안에 파일과 관련된 문제를 처리하는 대신, 정리를 위한 별도의 정리 시간을 따로 마련하여 한 번에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 Live의 파일 관리자(File Manager)를 사용하면 현재 Live Set뿐 아니라 다음에 대해서도 누락된 파일을 찾고 외부 파일을 수집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 라이브러리 — 파일 메뉴에서 “Manage Files” 명령을 선택한 다음, “Manage User Library” 버튼을 클릭합니다. - 현재 Live 프로젝트 — 파일 메뉴에서 “Manage Files” 명령을 선택한 다음, “Manage Project” 버튼을 클릭합니다. - 임의의 Live 프로젝트 — 브라우저의 콘텐츠 패널에서 프로젝트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Manage Project” 옵션을 선택합니다. - 임의의 Live Sets, Live Clips, Live Presets 모음 — 브라우저에서 해당 항목들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Manage Files” 명령을 선택합니다. 작업을 마친 후에는 파일 관리자 하단의 “Collect and Save” 버튼을 클릭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변경 사항이 저장되지 않습니다. ### 5.9. Finding Unused Files Live의 파일 관리자는 프로젝트 내에서 사용되지 않는 파일을 찾아줍니다. 그런 다음, 개별적으로 또는 한 번에 삭제할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Live가 “사용되지 않음”으로 간주하는 파일을 찾을 때, 프로젝트 폴더 내의 각 파일을 검사하여 Live Sets, Live Clips 또는 디바이스 프리셋 중 어느 것에서도 참조되지 않는 경우 해당 파일을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이는 다른 프로젝트나 프로그램에서 여전히 해당 파일을 사용할 수 있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현재 열려 있는 프로젝트의 사용되지 않는 파일을 찾으려면, 파일 메뉴에서 “Manage Files” 명령을 선택하고 “Manage Project” 버튼을 클릭한 다음, “Unused Files” 옆의 삼각형 펼침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요약 정보와 “Show” 버튼이 나타납니다. “Show” 버튼을 클릭하면 브라우저에 사용되지 않는 파일이 나열되고, 여기에서 샘플을 미리 듣고 원하는 경우 삭제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라이브러리에서도 사용되지 않는 파일을 찾을 수 있습니다. 파일 메뉴에서 “Manage Files”를 선택한 다음 “Manage Library” 버튼을 클릭하고 “Unused Files” 섹션을 확인합니다. 마지막으로, 특정 폴더(및 그 하위 폴더)에 있는 모든 프로젝트의 사용되지 않는 파일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브라우저에서 폴더를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고 “Manage Projects” 명령을 선택한 다음, “Unused Files” 섹션을 확인합니다. Live는 각 프로젝트를 개별적으로 검사하며, 동일한 폴더 내의 다른 프로젝트에서 해당 파일을 사용 중이더라도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손실을 방지하려면 먼저 파일을 해당 프로젝트에 수집한 다음, 사용되지 않는 파일을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 5.10. Packing Project into Packs Live의 파일 관리자는 Live 프로젝트를 팩(Pack) 형식으로 압축하여 보관 및 전송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합니다. 이 작업을 하려면 파일 메뉴에서 “Manage Files”를 선택하고 “Manage Project” 버튼을 클릭한 다음, “Packing” 옆의 삼각형 펼침 버튼을 클릭합니다. “Create Pack” 버튼을 클릭하면 새 팩 파일의 이름과 저장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파일 선택 대화 상자가 열립니다. 프로젝트에서 새로운 팩을 생성해도 해당 프로젝트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프로젝트를 삭제하려면 브라우저에서 직접 삭제해야 합니다. Live는 무손실 압축 기법을 사용하여 팩의 파일 크기를 최소화합니다. 프로젝트에 포함된 오디오 자료에 따라 최대 50%까지 용량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팩을 풀어(즉, 원래의 Live 프로젝트로 복원) 사용하려면, 팩 파일(.alp)을 더블 클릭하거나 Live의 메인 창으로 드래그하거나, 파일 메뉴의 “Install Pack” 명령을 통해 찾을 수 있습니다. ### 5.11. File Management FAQs #### 5.11.1. 프로젝트 생성은 어떻게 하나요? Live Set을 저장하면 항상 프로젝트가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단, 기존 프로젝트 폴더에 저장하는 경우는 예외입니다. #### 5.11.2. 현재 프로젝트에 프리셋을 어떻게 저장하나요? 디바이스의 타이틀 바에서 브라우저의 “Current Project” 레이블로 드래그하면 프리셋을 현재 프로젝트에 직접 저장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파일 관리 도구를 사용해 참조된 샘플을 수집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 5.11.3. 하나의 Set에 대해 여러 버전을 작업할 수 있나요? 동일한 Live Set의 여러 버전으로 작업하고 싶다면, 같은 프로젝트 내에 저장하십시오. 이는 보통 최초의 Live Set을 저장할 때 생성된 프로젝트일 것입니다. 하나의 프로젝트에 여러 Live Set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다양한 버전에서 사용된 샘플의 복사본은 하나만 수집되므로 디스크 공간을 절약하고 정리에 도움이 됩니다. #### 5.11.4. Live Set은 어디에 저장해야 하나요? Live Set은 어디에나 저장할 수 있지만, 기존 프로젝트 폴더에 저장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별한 경우에만 그렇게 해야 합니다. 이미 해당 프로젝트와 관련된 경우(예: 기존 곡의 다른 버전 등)에만 기존 프로젝트에 Live Set을 저장하는 것이 좋습니다. #### 5.11.5. 프로젝트 폴더에서 나만의 폴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나요? 프로젝트 내에서 원하는 방식으로 파일을 구성할 수 있지만, 파일을 옮긴 경우 파일 관리자(File Manager)를 사용하여 다시 연결해야 합니다. 1. 라이브 브라우저 또는 운영 체제를 통해 프로젝트 폴더 내의 파일과 폴더를 재구성합니다. 2. 브라우저에서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하고 컨텍스트 메뉴를 통해 프로젝트 관리를 선택합니다. 3. 프로젝트에 사용된 샘플의 원래 위치를 변경한 경우 누락된 샘플 파일 관리자 섹션에서 이를 표시합니다. 찾기 버튼을 클릭하여 샘플을 검색합니다. 4. 샘플이 모두 프로젝트 폴더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므로 자동 검색을 펼칩니다. 그런 다음 검색 프로젝트 및 폴더 전체 다시 검색 옵션을 활성화합니다. 마지막으로 이동을 클릭하여 검색합니다. 5. 검색이 완료되면 파일 관리자 하단의 수집 및 저장을 클릭하여 프로젝트를 업데이트합니다.